두문동(杜門洞) 72현(賢) - 진천송씨 죽계공 諱 광보

홈 > 게시판 (公告欄) > 자유게시판
자유게시판

두문동(杜門洞) 72현(賢) - 진천송씨 죽계공 諱 광보

송은도 0 4868
 
http://blog.daum.net/syc1800046/71
 
두문동(杜門洞) 72현(賢)
 
두문동 72현은 고려가 망할 때 조선을 거부하며 개성 두문동에 들어갔거나, 또는 새 세상을 거부하고 은거하며 생을 마감한 일흔 두 분의 지조 높은 고려말 선비를 말한다. 두문동은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만수산(萬壽山) 아래 광덕산(廣德山) 서쪽 골짜기로 고려가 망하자 고려의 충신들이 망국을 통곡하고 송도(宋都) 남현(南峴) 지금의 부조현(不朝峴)에 조천관(朝天官. 궁궐에 들어갈 때 쓰는 의관)을 걸어 두고 모두 삿갓을 쓰고 이 골짜기로 들어가 두문불출하며 절의를 지키고 살다가 죽었다 한다. 이 때에 있었던 사람이 혹은 72명, 혹은 100여명 혹은 그 수를 알 수 없다고 하기도 하고 또 조선이 개국하고 이 태조가 친히 과거장에 임석했는데 고려의 태학생(太學生)들이 과거를 거부하고 이 곳을 들어왔기 때문에 두문동이라 한다고도 한다.
 
그리고 보봉산(寶鳳山) 북쪽 10리쯤에 두문동이란 것이 또 하나 있었다고 한다. 이곳은 고려 무신 48인이 이 골짜기에 들어가서 수절한 세신정(洗身亭. 몸을 씻은 정자), 회맹대(會盟臺. 모여서 맹세한 누각)가 있으며, 성거산(聖居山) 밑에 판시동(判侍洞)이 있으니 그 곳은 고려 신하 8인이 먼저 처와 자식을 죽이고 들어와서 나무를 쌓아 불질러 타죽었다 한다. 앞의 72인이 있던 곳을 서두문동이라 하고, 뒤의 48인이 있던 곳으르 동두문동이라고도 하는데 혹은 새 왕조 조선에서 포위하고 불을 태워 죽였다고도 한다.
 
정확한 역사의 기록이 없으니 알 수 없지만 이 곳에 고려의 수절신(守節臣)들이 들어갔던 것은 사실이다. 또 이 분들이 여기서 수절한 것도 사실이다. 1751년(영조 27)에 영조대왕은 어제어필(御制御筆. 임금이 손수 짓고 몸소 씀)로 승국충신금언재 특수기동표기절(勝國忠臣今焉在 特竪其洞表其節. 고려의 충신이여 지금 어디에 있는가, 특별히 그 동리에 비석을 세워 그 절의를 표하노라)이란 14자 비를 세우고 비각을 세웠다.  정조는 표절사(表節祠)를 세워서 임선미(林先味), 조의생(趙義生), 맹(孟)씨 등 두문동 3현을 향사케 하였으며 그 뒤 순조는 성사제(成思齊), 박문수(朴門壽), 민안부(民安富), 김충한(金沖漢) 등 4현을 위 표절사에 추가로 향사케 했었다.
 
부조현’이란 고려의 유신들이 과거에 응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이름이다. 신 왕조인 조선의 왕에게 ‘조회를 하지 아니하고(부조. 不朝) 넘어간 고개(현. 峴)’라는 말로 조선의 신하가 되기를 거부한다는 의미이다. 부조현은 고려 유신(遺臣)들이 이 고개에서 관을 벗어 걸고 갔다고 하여 괘관현(掛冠峴. 걸 괘, 의관 의)이라고도 한다. 두문동 72현 선생은 아래와 같이 가나다순으로 인명과 종가 또는 묘소·유허지를 기록하다.
 
[두문동 72현]
1.강회중(姜淮仲) : 경기도 고양시 관산동
2.공은(孔은) : 전남 여수시 낙포동
3.구홍(具鴻) :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
4.권정(權定) : 경북 영주시 영주동
5.길재(吉再) : 경북 구미시 남통동 금오산
6.김가행(金可行) : 경남 거창군 가조면 대초리
7.김거익(金居翼) : 충남 부여군 부여읍 중정리
8.김구정(金九鼎) : 경북 상주군 화동면 판곡리
9.김사렴(金士廉) : 충북 청원군 오창면 모정리
10.김선치(金先致) : 경북 상주시 개운동
11.김세영(金世英) : 전북 부안군 부안읍 연곡리
12.김승길(金承吉) : 전북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
13.김승로(金承露) : 충남 연기군 전동면 청람리
14.김자수(金自粹) :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
15.김제(金濟) : 경북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
16.김주(金澍) : 경북 구미시 도개면 월림리
17.김충한(金沖漢) : 전북 남원시 송동면 두신리
18.김후(金後) : 경남 산청군 신등면 평지리
19.노준공(盧俊恭) :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
20.도응(都膺) : 충남 예산군 응봉면 지석리
21.민안부(閔安富) :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
22.박가권(朴可權) : 경북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
23.박유(朴兪) : 충남 예산군 광시면 광시리
24.박익(朴翊) : 경남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
25.박선중(朴宣中) : 전북 김제시 상동동
26.배상지(裵尙志) : 경북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
27.백장(白莊) : 전북 장수군 계내면 금덕리
28.범세동(范世東) : 광주광역시북구 생룡동
29.복위룡(卜渭龍) : 충남 홍성군 금마면 송암리
30.서견(徐甄) :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
31.성부(成傅) : 전북 고창군 해리면 송산리
32.성여완(成汝完) :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고일리
33.송광보(宋匡輔) : 충북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
34.신덕린(申德隣) : 충북 청원군 낭성면 관정리
35.신우(申祐) : 경북 의성군 안계면 용사리
36.심원부(沈元符) :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
37. 안준(安俊) : 경북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
38.오국화(吳國華) : 경북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
39.옥사온(玉斯溫) : 경남 의령군 대의면 신전리
40.원천석(元天錫) :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석경촌
41.유방택(柳方澤) : 충남 서산군 인지면 애정리
42.유번(柳藩) : 경남 합천군 묘산면 가산리
43.이경(李瓊) : 경남 거창군 가조면 기리
44.이반계(李攀桂) :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정암리
45.이색(李穡) : 충남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
46.이양중(李養中) :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신월리
47.이억(李억) :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
48.이오(李午) : 경남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
49.이원달(李元達) : 경남 거창군 위천면 장기리
50.이중인(李中仁) :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영덕리
51.이치(李致) : 경남 합천군 합천읍 내곡리
52.임난수(林蘭秀) : 충남 연기군 남면 나성리
53.임선미(林先味) : 전남 화순군 화순읍 일심리
54.임즐(林즐) : 경북 예천군 용문면 직리
55.임탁(林卓) : 전남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
56.장대장(章大莊) : 경남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
57.전귀생(田貴生) : 충남 홍성군 구황면 내현리
58.전숙(全淑) : 충북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
59.전오륜(全五倫) :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
60.정광(程廣) : 광주광역시 서구 진월동
61.정온(鄭溫) : 경남 진주시 사봉면 사곡리
62.정희(鄭熙) :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
63.조견(趙견) : 경기도 성남시 여수동
64.조계방(曺繼芳) : 경남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
65.조승숙(趙承肅) :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
66.진여란(晉如蘭) : 전북 남원시 주생면 지당리
67.진우란(晉于蘭) : 전북 남원시 대강면 방동리
68.차원부(車原부) : 경기도 평택시 장안동
69.채귀하(蔡貴河) : 경북 상주시 사벌면 삼덕리
70.최양(崔瀁) : 전북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
71.최청(崔淸) :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용정1리
72.현옥량(玄玉亮) : 경북 에천군 지보면 소화리
 
자료는 '국역송은집'과 인명은 '두문동 일흔 두 분(다운샘. 최권흥. 1999년)'에서 인용함
0 Comments
제목